
1 야전군 사령부 : 별칭 통일대
1 First ROK Army FROKA 1군사령부
1st Field Army Command 1야전군 사령부
1953년 12월 15일 창설 1군 사령부 창설
2007년 ,2013년 1군 사령부 임무종료/ 1 야전군 사령부 창설
2018년 12월 31일 임무 종료
부대 표지 직조 패치
팔각형 형태에 태극을 상징하는 적, 청색에 숫자 1이 있다.
8 각형: 팔도강산 수호
외곽 녹색: 대한민국의 평야를 표현
내부 적,청색: 대한민국과 한민족의 전통적인 상징인 태극을 표현
내부 백색: 험준한 산악지대를 대표하는 일꾼을 상징
1: 제 1군을 표현
육군 1야전군
육군 제1야전군은 6·25전쟁 정전 직후인 1953년 12월 15일 창설됐다. 부대마크는 가로 세로 7cm의 크기이다.8각형 : 팔도강산 수호,외곽녹색 : 대한민국의 평야를 표현내부 홍·청색 : 대한민국과 한�
kookbang.dema.mil.kr
지상작전사령부 별칭 : 선봉대
Ground Operations Command
2019년 12월 1일 창설
부대 표지 그대로 사용
다만 1의 의미만 변경 1의 의미는 하나의 지상작전사령부로 변경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육군지상작전사령부 The Ground Operations Command 육군지상작전사령부는 육군1야전군과 육군3야전군을 통합, 2019년 1월 1일부로 새롭게 출범했다. 지작사 창설는 1야전군사령부와 3야전군사령부가 �
kookbang.dema.mil.kr
첨부한 부대 표지는 1 야전군 사령부 때 구했던 부대 표지이다. 대략 05년 이후에 구했던 것 같다
부대 표지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별칭은 3 야전군 별칭을 사용하는 것 같다.
부대 연혁에서 2작사의 경우 2007년에 부대명칭이 변경되었다 1,3군도 이때 변경되었다고 추측했는데
한국일보 기사에 따르면 13년도에 변경되었다고 나온다. 확인이 필요한 부분
https://web.archive.org/web/20140422232116/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5/h2013051420480321950.htm
web.archive.org
60년대 버전 부대표지 1
[부대마크]1군 야전사령부
제 1야전군사령부 전쟁 이후 창설 60년대 버전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946514 ‘65년간 동부전선 파수꾼’ 1군사령부 공식 해체 지난 65년간 동부전선의 파수꾼 역할을 담당해온..
bias123.tistory.com
1군 사령부 창설 동영상
동영상 04초 부분 1군 사령부 마크가 보인다.
영상은 55년으로 생각된다.
1군 사령부 마크 뿐만 아니라 1군단.
1군 사령부 창설 첫 돌 동영상
마지막 부분 사열하는 장면이 있는데 당시 부대마크 착용에 대해서 확인 되지 않는다
다만 부대기를 통해 당시 부대마크는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29사단을 볼수 있다
1군 사령부 해체 동영상
지상적전 사령부 창설식
'육군 > 부대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대마크] 육군 3군단 (2) | 2020.05.20 |
---|---|
[부대마크] 육군 2작전사령부 (0) | 2020.05.17 |
[부대마크] 육군 2군단 (0) | 2020.05.09 |
[부대마크] 수도방위사령부 (0) | 2020.05.02 |
[부대마크] 육군 1군단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