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군/부대1

(56)
[부대마크] 육군 21사단 육군 제21 보병사단 백두산 부대 1953년 1월 15일 창설 -부대표지- 백두산부대 마크는 둥근 모양의 파란색 바탕에 세 개의 하얀색 산봉우리가 새겨져있는 모양 청색원: 우주를 상징 백색원: 단결을 의미 솟아있는 세 개의 봉우리 : 민족의 기백을 담고 있는 명산인 백두산과 금강산, 한라산을 상징 이는 백두부터 금강까지 전 국토를 아우르는 통일을 이룩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놓은 것 -국방부 블로그인데 왜 백두에서 금강으로 설명을 했을까? 한라가 아니고...- -산봉우리를 7로형상하고 3개가 있어 7×3=21로 21사단을 상징 2000년대 이후 밝은 청색을 사용, 90년대에는 어두운 청색을 사용함 80년대 초 2 peice의 형태의 부대 표지를 사용함 즉 원형 천에 위에 산 모양과 원을 미리 잘라놓고 그위에..
[부대마크] 육군 20사단 제20 기계화보병사단 별칭 결전부대 부대표지 설명글 초창기 부대표지 설명글 '저작권 문제로 사진은 첨부하지 못함' 민족의 자유와 전세계의 평화를 위하여 백의민족과 전 세계가 총궐기하여 공산 오랑캐를 무찌르는 선봉이 됨을 상징합니다. 내부의 원형은 천제를 표시하며 청년의 특징인 용감성과 결백성을 상징하며 또한 평화의 상징입니다. 백색은 순수한 혈통을 계승하는 백의민족 단일민족을 상징합니다. 적색은 공산주의가 자유세계에서 그 세력을 축소파멸함을 상징합니다. 외곽 윤곽의 연하는 둥근 모양은 철모를 형을 그린 것으로 개인의 방패로서 완성된 전투준비와 개인의 피해를 방지하며 전승하는 근본임을 상징합니다. 전체의 반형은 로마자를 표시한 두 개의 X로서 20을 표시하며 외곽의 백색은 부호로서 XX사단을 표시한 것으로..
[부대마크] 육군 17사단 육군 제17 보병사단 별칭: 번개 부대 구 33부대 현 17사단 부대 표지 의미 방패 모양에 청색, 적색을 위아래 배치하고 번개와 칼을 배치했다. 방패: 국가의 방패 17: 제17 보병사단 청색: 평화수호 번개: 일격 필살 검: 정의, 충성 적색: 공격 정신 일반적으로 태극을 이용해서 적색이 위, 청색을 아래에 배치는 하는데 17사단 부대마크의 경우 반대로 되어 있다.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경계지역을 부대마크 안에 나타낸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육군 블로그에서 설명된 본래의 청색과 적색의 의미는 있지만 그동안 봤던 케이스하고는 다르다. 개인적으로는 제작자가 청색이 해안, 적색이 육지로 해안이나 강안 경계가 부대의 주임무라는 의미로 색상을 배치 하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17사단에 근처에 있는 51사단..
[부대마크] 육군 15사단 육군 제15 보병사단 일명 승리 부대 1952년 11월 8일 창설 부대표지 3개의 동심원(적,파,노란색)이 겹침 형태로 2사단과 비슷하다. 다만 마지막 백색원은 과거부터 존재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국방부 블로그에서는 백색원에 대한 설명이 없다. 적색원 : 태양, 거침없이 나가는 사단의 용맹성을 상징 파란 색원: 평화, 자유와 평화의 염원 노란색원: 달 사단의 무궁한 번창 과거에는 파란색 천을 바탕으로 적색천을 이용해 가운데와 바깥은 잘라서 ◎모양을 만들어 붙이고 노란색은 ● 이런 모양으로 잘라서 가운데 붙여 형태들이 많이 있다. 예하 연대 38연대 번개 39연대 을지 50연대 독수리 백전백승의 신화, 육군 '승리부대' 현재 중동부 전선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육군 '승리부대'는 험준한 지형과 기상의 ..
[부대마크] 육군 12사단 육군 제12 보병사단 별칭 을지 부대 1952년 11월 8일 창설 부대표지 방패 형태에 육각별이 이중으로 들어간 형태 육각별 모양의 이중구조 :12사단의 12를 상징 ▲▼조합은 이상적인 안정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솔로몬 문양으로 지혜와 슬기를 상징 내부 적색별:밝은 빛과 강인한 보병 외부 청색별: 창공과 평화 흰색 바탕의 방패 : 백의민족과 조국수호 1952년 11월 8일 창설 예하 연대 37연대 향로봉 51연대 독수리 52연대 쌍용 위키에 따르면 37연대는 쌍호 51연대는 향로봉 52연대는 쌍용으로 되어 있다.하지만 을지전우회 카페에 보면 향로봉, 독수리, 쌍용으로 되어있다.카페는 곧 폐쇄 될것 같다. cafe.daum.net/ROKA-12div [부대마크] 을지문덕 장군의 기개를 계승하다, 육군 제12..
[부대마크] 육군 11사단 육군 제11 기계화보병사단 별칭 화랑 부대 1950년 8월 27일 창설 방패 모양: 국가로부터 '조국 방위'의 임무를 부여받았다는 것을 상징화 청색: 정의와 평화, 강건함 백색: 우리 민족의 순수성과 참군인의 모습을 상징 중앙의 2개의 백색 선: 11사단의 11을 상징 전우회 자료를보면 조금 더 설명이 잘 되어 있다. -외곽방패 : 고대창검으로 대적할 때 적의 화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패”모형을 한 것으로써 이는 국가를 방위한다는 뜻 -청 색 : 정의, 평화의 상징 -백 색 : 유구한 반만년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가진 우리 백의민족을 의미하며 백색 두 줄은 사단을 의미 일반적으로 위사진 처럼 창설 부터 큰 차이는 없다. 물론 1950년대에는 지금보다 사이즈가 작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불리온이나 청색..
[부대마크] 육군 9사단 육군 제9 보병사단 일명 백마부대 부대 표지 원형타입에 백색의 삼선이 있고 바탕색은 청색 그리고 가운데 백마를 배치했다. 3등분으로 나뉜 흰색 테두리: 백의민족을 수호하는 3개의 전투부대의 단결을 상징 바탕의 파란색: 평화, 희망. 조국에 대한 우국충정을 표현 백마: 백마고지 전투의 감투정신 계승 말의 귀와 갈기 9개 : 9사단을 상징 현재의 패치 도안은 백마가 앞발을 들고 있는 형상인데 과거와 다름 과거 패치는 말이 누워 있는 느낌이다. 현재의 도안이 굳건한 기상이 느껴진다. 초기 버전 흰색 바탕에 3 등분된 검정 색 원형의 띠로 외곽을 두르고 3개의 보석이 균형 있게 배치된 모양이다. 창설 당시 미 군사고문단이 루비 사단이라고 명명했는데, 보석 루비를 로고에 형상화 두 번째 버전 1951년 8월 15..
[부대마크] 육군 8사단 육군 제8 기계화보병사단 일명 오뚜기부대 부대 표지 숫자 8을 오뚜기로 형상화했다. 8자 모양: 달마의 지조를 나타내며 정의를 위해 매진하는 뜻 황색: 희열과 명량을 상징, 우리 국토와 인류평화를 위해 공헌하겠다는 평화주의 의지 적색: 희망을 상징, 부대의 원대한 발전과 정의에 대한 포부 테두리가 적색은 90년대 이후였고 80년대 이전에는 테두리의 색이 녹색, 황색이 있었다. 녹색의 경우 소장하고 있는 패치는 미국에서 리프로로 제작되어 다른 오리지널 패치를 본적이 없다. 또한 과거 형태 중에 아랫부분에 도형을 넣어 연대를 표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테두리가 황색인건 경우 노란색- 빨간색- 노란색순으로 제작이 되어 있는데 아래에 영상을 캡쳐했으면 80년대 사용되었다는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우리가 아는 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