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흉장/흉장 2

(13)
[부대마크] 충용 기동대대 제37 보병사단 기동대대 부대 흉장 부대흉장 타원형 타입으로 부대마크위에 호랑이머리를 넣었다. 자수형 타입으로 아직까지 직조형 타입을 본적이 없다. 전우회 사이트나 구글링을 통해도 과거 흉장을 찾을수 없어 어떤식으로 변했는지 알수 없다. 다만 저 형태에서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에 발견된것은 깔끔해졌다. 이걸 수집하기 위해 여러 지역을 다녔다. 지금은 어디서 구했는지 기억은 안나지만 구했을때 그때 그 느낌은 잊혀지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는데..이제는 기억이 안난다. 언제 어디서 구했는지... 만약 직조 버전이 있다면 보고 싶다. 아직까지 본 적이 없다. 존재 하는지 모르겠다. 현재 저시인성의 경우 직조 버전은 있다. 기동대대의 경우 인원은 소수이고 부대에서 직접 주문해서 만드는 경우가 있으니 굳이 표현하..
[부대마크] 백호 기동대대 육군 제36 보병사단 기동대대 흉장 부대 표지 타원형으로 호랑이 얼굴이 좌측에 있다. 여러 기사들을 살펴봤지만 대대 별칭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다. 예하 기동 중대에서는 107 연대가 비슷한 흉장으로 아랫부분에 태백산 특공대라는 표식을 한 흉장을 사용했다. 현재 저시인성은 확인을 하지 못했다 어떤 댓글에서 봤는데 저시인성으로 바뀌고 나서 '왜 특수부대 흉장을 따라 했냐고...' 하는 불평하는 댓글을 본적이 있었다. 단순히 부대 창설을 기준으로 따지면 백호부대가 더 오랜 역사를 가졌다. 저시인성을 바뀐뒤 사용하는 색이 비슷하다. 어둡게 나타내기 위해서 비슷한 색상을 했지만 자세히 보면 바탕색이 특전사와 육군 수색,기동대 흉장의 차이가 확연히 차이 난다. 물론 부대마다 아닌경우도 있지만 군대를 나온 사람이..
[부대마크]충경 기동대대 35사단 기동대대 흉장 충경 기동대대, 부대 상징이 백호로 추정된다. 흉장 회색에 바탕에 가운데 부대마크를 표시하고 호랑이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호랑이의 얼굴이 잡아먹을 듯한 기세로 기울어져 있는데 '기동' 이라는 글자로 비스듬하게 배치 하였다. 타 블로그에서 부대 상징이 백호로 하는것 같다. 또한 예하 기동중대는도 대대흉장과 비슷하면서 연대 숫자만 들어간다. 기사에 따르면 2014년 부대를 재편한것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병사 중심에서 간부중심으로 바뀐것으로 추정된다. 저시인성으로 바뀌면서 도안의 형태도 달라졌다. 부대 관련 기사 부대개편, 강한 훈련으로 완성 kookbang.dema.mil.kr 우리부대 최고-기동대대 kookbang.dema.mil.kr 35사단 기동대 전역자의 블로그로 추정..
[부대마크] 백룡 기동대대 육군 제32 사단 기동대대 백룡 기동대대 부대표지 부대 별칭처럼 칼을 들고 있는 백룡이 잘 나와 있다. 흉장을 보면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좌측은 녹색으로 산을 표현하고 우측은 백룡의 머리, 가운데 번개와 칼이 있다. 대략 추측하자면 도안했던 의도는 산은 육군, 번개는 기동대대의 신속함, 번개는 힘을 상징, 그리고 용은 사단의 별칭이 아닐까 생각한다. 간혹 인터넷에서 보면 제작된 경위들을 알 수 있다. 인터넷에 올라온 흉장은 위의 버전과 차이가 없다. 또한 정보도 없어서 백룡 기동대대의 경우 흉장의 변화된 순서를 파악하기 힘들다.또한 기동중대의 경우 흉장을 착용하는지 알 수 없다.
[부대마크] 충장 기동대대 육군 제 31사단 기동대대 충장 기동대대 타원형으로 바탕은 태극을 이용하였고 가운데 호랑이로 추측되는 동물을 상징했고 날개가 있다. 특이점으로 검은색으로 삼각형을 형상화 하였는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아직까지 알수 없다. 혹시나 이름이 별칭이 비호 부대라고 생각했는데 같은 부대 타 여단에서 비호부대라는 별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호라는 별칭은 아닌것 같다. 부대 마크의 테두리가 파란색으로 초기 버전으로 추측된다. 이후 버전은 테두리가 흰색이다. 우측 가슴 포켓에 부착한다. 컴퓨터 자수 타입으로 수색대 흉장과 달리 직조 타입이 없다. 저시인성으로 이후 직조 타입이 제작되었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제작하는곳에 따라 호랑이(?)의 색이 조금씩 달라졌다. 기동대대를 영어로 Maneuver BN: Maneuver 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