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부대2 (28)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대마크] 육군 11군단 육군 제11군단 별칭 충렬부대 ROK ⅩⅠ Corps 마지막 군단 부대 표지 그동안 봤던 부대 표지중 개인적으로 특색이 있는 부대마크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방패형 타입의 마크는 상단에 3각 또는 2각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마크의 경우 상단에 5각이다. 다른 군단, 사단 마크와 비교하면 큰 차이라고 느껴진다. 부대 역사가 짧은 관계로 다양한 버전을 본 적이 없다. 해체된 지 벌써 10년이 넘었고 부대 마크의 의미는 찾을 수가 없다. 다른 부대 마크들로 11군단의 부대 마크의 의미를 생각했다. 의미 추측 초록색 테두리: 방어, 수호의 의미, 그리고 육군을 의미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색ⅩⅠ : 11군단을 상징하며 가장 많이 있는 백의민족을 상징할 것 같다 가운데 적, 청색: 태극을 상징을 상징할 것을 생각된다.. [부대마크] 육군 9군단 육군 제9 군단 별칭 충무부대 부대 표지 1군단 부대 표지와 형태가 비슷하다. 부대가 해체된 지 오래되어서 부대 표지의 의미는 찾지 못했다. 물론 부대 역사관에는 아직 있겠지만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는 없다. 다른 마크들 처럼 추측해보면 부대 표지는 크게 청색, 백색으로 나누어진다. 테두리는 한반도를 형상화했을 것이다. 청색과 백색은 육군과 단결 백의민족을 나타 낸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워낙 오래전에 없어진 부대이면서 후방에 있던 부대이기 때문에 자료가 부족하다 현재까지 파악된 부대 표지는 90년대에는 파란색이지만 보랏빛이 있는 바탕색을 사용했다. 다만 흔히 사제라고 하는 컴퓨터 자수 버전은 본 적이 없다. 2007년 해체되었기 때문에 저시 인성 부대마크는 제작이 되었다. 부대 역사 1987년 4월 1일.. [부대마크] 육군 8군단 육군 제8 군단 별칭 동해 충용 부대 부대표지 겉으로 보기에는 지상작전사령부, 7군단 마크와 비슷하다. 테두리가 8각으로 지장작전사와 비슷하고 안의 로마자 Ⅷ은 7군단 마크와 유사하다 8각형: 아름다운 팔도강산 수호를 상징 상단 적색: 국가와 상관에 대한 충성심 의미 하단 청색: 조국의 평화와 군 조직의 단결의 의미 녹색테두리: 건강한 군인의 젊음과 패기를 의미 부대마크에 대해 별달리 특이 한건 없다. 다만 8군단 특공대 부대 흉장의 경우 3군당 부대 흉장과 유사하다. 들었던 이유로는 당시 703특공대에서 차출되어 8군단 특공대가 만들어지고 그래서 부대 흉장이 유사하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전역자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는 아니라서 확인이 필요하다. 초기는 특공대 부대 흉장은 유사해서 구분이 힘들다. 칼라의 .. [부대마크] 육군 7군단 육군 제7 기동군단 별칭 북진 선봉 부대 표지 상단의 뾰족한 끝: 북진의 의미 7각: 7군단을 의미 적색: 정열과 복종심 청색: 영구한 평화 녹색 테두리: 정열적인 젊음과 패기 직조 타입으로 다양한 버전이 발견되지 않은 마크 중 하나이다. 자수 타입의 마크도 있을 것으로 추측되나 쉽게 보이지 않는다. 다만 저시인성의 경우 다양한 버전이 검색된다. 부대 연혁 1969년 1월 18일 동해안 경비사령부 창설 1982년 8월 16일 7군단으로 개편 부대 코인 blog.naver.com/radartech/222066034980 7군단 관련 코인으로 디 양한 버전이 있다. 특이점은 북진 선봉이 아닌 북진 통일이라는 이름으로 코인이 있다. 부대의 뿌리·역사적 의의 되새겨 kookbang.dema.mil.kr 구글에서.. [부대마크] 수도군단 수도군단 별칭 충의부대 부대 표지 방패: 임전무퇴의 정신으로 수도권 방위 'ㅅ'자 : 수도군단 및 승리의 'ㅅ'자 내부 청색: 국토 통일의 대망과 자유 내부 적색: 정열과 일사불란한 충성심 백색 둘레: 수도권의 평화보장 내부청 적조화: 태극을 상징(조국통일과 무궁화 발전) 80년대 수도군단의 부대 표지중 삼각형이 들어간 타입이 있다. 또한 현재 부대 표지의 상단 꼭짓점은 두 점을 그은 직선 형태이나 80년대 삼각형이 들어간 마크는 꼭짓점이 3개로 된 방패 타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부대마크에 별이 들어가 있다. 일반적으로 지휘관의 계급을 나타낸 게 아닐까 생각된다. 다른 마크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간혹 의무사령부 마크에서 이런 모습이 보인다. 충의 부대 마크 설명 충의 부대 유래도 기록하고 싶었으나 한자.. [부대마크] 육군 6군단 육군 제6 군단 별칭 진군부대 ROK VI Corps 부대표지 육각형으로 청색과 백색으로 나타냈다. 또한 타 군단과 달리 로마자 숫자가 없다. 청색: 조국통일, 평화상징 백색: 백의 민족의 전통과 자유상징 3각형: 프로펠러(추진력), 군단발전 1954년 5월 1일 창설 최근 국방개혁 2.0에 따라 해체 예정 창설 관련 기사 news.v.daum.net/v/20090501201404083?f=o 육군 6군단, 창설 55주년 기념..주민과 함께하는 부대 육성 【포천=뉴시스】육군 6군단은 1일 군단 창설 55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갖고 적과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강한 군단 육성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6군단은 전후 피해 복구가 한창이 news.v.daum.net 군단 해체 예정기사 news.kh.. [부대마크] 육군 5군단 육군 제5 군단 별칭 승진부대 ROK V Corps 1953년 10월 1일 창설 특이점은 창설이후 부대이동 없이 한 곳을 지키고 있다. 부대표지 직조, 원형타입으로 V를 가운데 청색과 백색으로 배치하였고 황색원을 주위를 감싸고 있다. 참고로 1군단 부대표지와 비슷하다. 원: 완전 무결함과 하나로 단결됨. 즉 통일 조국을 의미 청색: 평화(민주주의 실현) 황색: 단결(화합된 부대) 백색: 순수(백의민족 순결) 로마자 V: 승리와 선봉을 의미하는 Victory와 Van의 머리를 글자로서 승진부대를 상징 일번적으로 군단 표지에서는 로마자로 군단을 의미했었는데 5군단의 경우 Victory의 의미가 추가로 더 있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부대표지- blog.naver.com/radartech/22192308403.. [부대마크] 육군 3군단 육군 3군단 별칭 산악부대 ROK Ⅲ CORPS 1950년 10월 16일 창설 1951년 5월 26일 해체 1953년 5월 1일 재창설 부대 표지 원형에 태극무늬가 바탕에 로마자로 Ⅲ이 표시되어 있다 파란색 테두리: 영원한 평화상징 노란 원 : 지휘관 중심으로 한 부대 단결의 표시 태극무늬: 최선봉 부대로써 남북통일의 주역 표시 로마 숫자 Ⅲ: 3군단 상징 두 번의 창설을 겪으면서 부대 표지는 같은지 다른지 파악이 안 된다. 시기적으로 볼 때 처음 창설 시 부대 표지는 찾기 어려울 것 같다. 당시 여고생들이 직접 손자수로 만든 경우도 있어서 무조건 없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 수기사 부대 표지로 확인- 6번째 문단에 설명 해체 후 재창설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철모에 ‘결사’새기고 항전..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