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군/부대2

(28)
[부대마크] 육군 2작전사령부 육군 2군사령부/ 2작전사령부 별칭 무열대 SROKA (Second ROK Army) 2군사령부 2nd Field Army Command 2작전 사령부 Second Operational Command 1954년 10월 31일 2군 사령부로 창설 2007년 10월 31일 부대 임무 종료,해체 11월 1일 제 2작전사령부 창설 부대표지 국방일보 해설 삼각형 같은 A자에 숫자 2가 들어간 형태 삼각형 : 정점에서 저변에 이르기까지 정연한 통솔계통과 상하단결,남북통일, 삼면해안에 연하하는 대한을 상징 청색(바탕): 청렴,순백, 무고하고 고결한 충성을 위해 사리사욕을 경시하는 결백한 충성심 A: 백색의 외각선으로만 보일듯 하지만 Army의 이니셜 'A'를 형상화 군의 모체인 사령부를 상징 2: 숫자는 2작전사를 ..
[부대마크] 1야전군 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 1 야전군 사령부 : 별칭 통일대 1 First ROK Army FROKA 1군사령부 1st Field Army Command 1야전군 사령부 1953년 12월 15일 창설 1군 사령부 창설 2007년 ,2013년 1군 사령부 임무종료/ 1 야전군 사령부 창설 2018년 12월 31일 임무 종료 부대 표지 직조 패치 팔각형 형태에 태극을 상징하는 적, 청색에 숫자 1이 있다. 8 각형: 팔도강산 수호 외곽 녹색: 대한민국의 평야를 표현 내부 적,청색: 대한민국과 한민족의 전통적인 상징인 태극을 표현 내부 백색: 험준한 산악지대를 대표하는 일꾼을 상징 1: 제 1군을 표현 육군 1야전군 육군 제1야전군은 6·25전쟁 정전 직후인 1953년 12월 15일 창설됐다. 부대마크는 가로 세로 7cm의 크기이다.8..
[부대마크] 육군 2군단 육군 2군단 별칭 쌍용부대 1950년 7월 15일 경북 상주 함창에서 6,8사단을 예하부대로 창설 1952년 4월 5일 재창설 1955년 4월 1일 현 위치 (강원도 춘천시)이동 1972년 7월 '쌍용' 이라는 별칭 사용 부대 표지의 의미 붉은 바탕에 푸른색 둘레를 하고 있으며 2군단을 뜻하는 로마 숫자 Ⅱ로 표기되어 있다. 붉은색 : 정의와 정열 푸른색 : 조국의 방패 부대마크의 경우 과거와 큰차이는 없다. 기술의 발전으로 좀서 세밀한 표현이 가능한것 외에 달라진것 없다. 물론 과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직조,자수 방식이 아닌 덧대는 형식으로 제작되었거나 모루수를 이용, 마지막으로 고주파로 제작한 패치들이 있다. 2군단은 50년 창설된 후 52년에 재창설되었다 당시 전쟁 중이었던 시기로 많은..
[부대마크]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 사령부 별칭 방패부대 1961년 6월 1일 수도방위 사령부로 1963년 수도경비사령부로 개칭 1984년 수도방위사령부로 개칭 부대 표지 백색: 국가원수에 대한 충성과 시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의미 자색 : 불의에 굴하지 않는 굳건한 정신의 뜨거운 정열을 의미 황색: 평온, 평화를 의미하며 서울 시민의 안녕과 질서를 상징 방패: 자유과 평화수호의 상징 삼각: 형 수도 서울을 의미하며 삼각산을 상징 대검: 힘을 지닌 정의의 군대를 상징 어떠한 적도 한 칼에 분쇄하겠다는 의미 2005년 1월 부로 황색에서 짙은 녹색으로 변경 초기 수방사의 패치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1963년 수경사로 변경 부대 연혁 1961년 6월 1일 수도 방위 사령부 창설 1963년 수도 경비 사령부로 개칭 1984년 수도 방위..
[부대마크] 육군 1군단 육군 1군단 별칭 광개토부대 와 천하제일 1군단 부대표지 군단은 부대마크에 로마자로 표시되었다. 예를 들면 1군단(Ⅰ) 2군단 (Ⅱ) 3군단은 (Ⅲ) 로마자 표시된다. 다만 6군단만 다르다. 6군단의 경우 로마자가 표시가 안되어 있다. 로마자 Ⅰ : 1군단을 의미 테두리 : 대한민국 영토 청색, 황색, 백색: 통일 조국의 평화와 음양조화상태를 상징 청,황,백색은 5군단 부대표지와 비슷한 느낌이 든다. 물론 개인적인 느낌이다. 군단급 부대이기 때문에 유튜브 오래된 영상에서 마크를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크기에 비하면 과거엔 크기가 작았다. 부대마크도 과거와 큰차이는 없다. 과거에는 흔히 말하는 부대앞 마크사마다 제작을 하여 같은 지역이라도 기술자에 따라 색이나 모양이 조금 다르지만 전체적인 변화는 없다..
[부대마크] 육군 교육사령부 육군 교육사령부 별칭 창조대 ROK Army Training & Doctrine Command 1951년 8월 1일 창설 1950년대 교육총감부로 시작 병과학교를 학교 체계로 확대하여 교육 총본부로 개칭 1960년대 전투병과 교육사령부 개편 1981년 육군 교육사령부 창설 부대표지3 동심원에 안에 원을 다시 3등분을 한 형태이다. 원형 3색 :전투, 전투지원, 전투근무지원 검은색 원주형: 무한한 발전 부대 명칭이 몇 번 바뀌었고 부대마크도 몇번 달라졌다. 부대마크는 3번 바뀐 것으로 생각된다. 첫 번째는 교육총감본부 시절로 1950년대 방패형 타입이다. 두번째는 전투병과교육사령부로 명칭이 바뀌었고 원형 타입으로 제병교육협동본부마크와 비슷하다. 그리고 1980년대 교육사령부와 다시 명칭이 바뀌면서 현재의 ..
[부대마크] 육군 군수사령부 육군 군수사령부 칠성대 1960년 1월 15일 창설 부대마크 의미 화살표: 군수물자/장비의 전방추진, 전투부대 중심의 군수지원, 북진의 진취적 기상, 조국 통일성취의 의지 7개의 별: 7개 병과 통합 기능화체계 (공병,수송,병기,병참,의무,화학,통신) 군수사 7대 가치(생산성, 효율성, 투명성, 신뢰성, 통합성, 전문성, 창의성) 황색: 부대의 공고한 단결, 완전무결한 군수지원을 다짐하는 굳은의지, 지속지원능력 확충 녹색: 육군, 야전중심 백색: 완전무결 청색: 청렴결백 부대연혁 1960년 1월 15일 군수기지사령부로 창설 1970년 군수사령부로 개편 2007년 3월 6일 부대 현위치로 이전 부대표지 및 핵심가치 www.logcmd.mil.kr:454 육군군수사령부 대전 시대 개막 kookbang.dem..
[부대마크]육군 제 2작전 사령부 육군제2 작전사령부60년대 모루수 버전 부대표지 설명 https://bias123.tistory.com/86 [부대마크] 육군 2작전사령부 육군 2군사령부/ 2작전사령부 별칭 무열대 Second Operational Command 1954년 10월 31일 2군 사령부로 창설 2007년 10월 31일 부대 임무 종료,해체 11월 1일 제 2작전사령부 창설 부대표지 삼각형 같은 A자에 숫 bias12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