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군

(118)
[부대마크] 육군 2군단 육군 2군단 별칭 쌍용부대 1950년 7월 15일 경북 상주 함창에서 6,8사단을 예하부대로 창설 1952년 4월 5일 재창설 1955년 4월 1일 현 위치 (강원도 춘천시)이동 1972년 7월 '쌍용' 이라는 별칭 사용 부대 표지의 의미 붉은 바탕에 푸른색 둘레를 하고 있으며 2군단을 뜻하는 로마 숫자 Ⅱ로 표기되어 있다. 붉은색 : 정의와 정열 푸른색 : 조국의 방패 부대마크의 경우 과거와 큰차이는 없다. 기술의 발전으로 좀서 세밀한 표현이 가능한것 외에 달라진것 없다. 물론 과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직조,자수 방식이 아닌 덧대는 형식으로 제작되었거나 모루수를 이용, 마지막으로 고주파로 제작한 패치들이 있다. 2군단은 50년 창설된 후 52년에 재창설되었다 당시 전쟁 중이었던 시기로 많은..
[부대마크] 육군 50사단 육군 제50 보병사단 별칭 강철부대 부대 표지 원형에 적색을 바탕으로 가운데 v가 있는 형태 적색선: 용광로의 뜨거운 강철을 상징 백색 선: 한자의 다섯 오(五) 자와 아라비아 숫자 0을 표시 50이라는 부대 명칭을 나타낸다. 개인적으로 한자로 표현한 부분은 잘 모르겠다. 오히려 V를 로마자가 아닐까 생각하는데 다른 의미가 있으니........ V: 영어의 Victory를 표현한다. 불에 단련된 강철 같은 강인한 필승의 신념과 불굴의 의지로 호국의 선봉에 서고자 하는 부대 정신이 담겨 있다. 1955년 6월 20일 창설... 몇몇 기사에 보면 18일로 되어 있다. 하지만 국방일보 기고문은 20일로 되어 있어서 우선 20일로 표시함. 예하 연대 501 여단 120 연대 낙동강 121 연대 해룡 122 연대..
[부대마크] 육군 과학화 전투훈련단 육군 과학화전투훈련단2002 4월 창설KCTC KOREA COMBAT TRAINING CENTER 부대 표지 국방색(녹색): 육군, 야전성흑색: 제병과 통합CTC: 전투 훈련단 (Combat Training Center) 부대표지속에 CTC를 형상화했다원(외곽): 화합, 단결칼: 공격, 국토통일방패: 방어, 조국수호 다른 부대표지와 다르게 처음부터 저시인성 느낌이 들도록 제작되었다 2005년 저시인성으로 변경되었을때 국방색이 갈색톤으로 바뀌었다. https://www.kctc.mil.kr:452/kctc/2014/subview.do불러오는 중입니다... 별칭으로 전갈 부대라고 알려 졌지만 실질적으로 전갈 부대는 과훈단의 예하부대 중 하나이다. 나무 위키는 별칭이 숫돌 부대라고 나와있다. 하지만 부대 홈페..
[부대마크]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 사령부 별칭 방패부대 1961년 6월 1일 수도방위 사령부로 1963년 수도경비사령부로 개칭 1984년 수도방위사령부로 개칭 부대 표지 백색: 국가원수에 대한 충성과 시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의미 자색 : 불의에 굴하지 않는 굳건한 정신의 뜨거운 정열을 의미 황색: 평온, 평화를 의미하며 서울 시민의 안녕과 질서를 상징 방패: 자유과 평화수호의 상징 삼각: 형 수도 서울을 의미하며 삼각산을 상징 대검: 힘을 지닌 정의의 군대를 상징 어떠한 적도 한 칼에 분쇄하겠다는 의미 2005년 1월 부로 황색에서 짙은 녹색으로 변경 초기 수방사의 패치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1963년 수경사로 변경 부대 연혁 1961년 6월 1일 수도 방위 사령부 창설 1963년 수도 경비 사령부로 개칭 1984년 수도 방위..
[부대마크] 육군 39사단 육군 제39 보병사단 별칭 충무부대 부대 표지의 의미 원형타입에 청색을 바탕으로 파도로 9를 형상하였고 3개의 파도가 있다. 감청색: 유구한 민족의 역사와 평화 수로를 상징 외부 백색 선: 철통 같은 향토방위와 백의민족을 의미 파도 형상: 제 39보병사단의 39 불굴의 정신 의미 파도의 형상을 보면 3개의 원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왼쪽부터 가장 작고 가운데 가장 높으면서 두 번째로 크다. 오른쪽 있는 원은 가장 크다. 지금은 일정한 간격이 있고 제조사가 조금씩 간격이 다를수 있지만 눈으로 봐서는 거의 비슷하다. 다만 과거에 사용되었던 패치들을 보면 가운게 가장 높고 원이 큰 것에 반해 좌우의 원은 낮고 작게 그려져 있다. 또한 색상도 청색이 아닌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색을 바탕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고..
[부대마크] 육군 37사단 육군 제37 보병사단 별칭 충용부대 부대표지 원형에 황색으로 숫자 7을 모양으로 3개가 들어간 형태이다. 정확한 부대 표지의 의미를 아직 찾지 못함 다만 노란색 모양의 7이 3개로 37 사단을 의미하지 않을까 추측함 부대 표지에 대한 설명은 추후 업데이트 1955년 5월 20일 강원도 양구에서 창설 이후 현위치로 부대를 이전하였는데 아직 기사나 관련자료를 찾지 못했다. 예하연대 110연대 천군 111연대 화랑 112연대 중원 37사단 관련 기사 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150512_0013656424#_enliple 37사단 창설년도 기사 kookbang.dema.mil.kr/newsWeb/20200515/1/BBSMSTR_000000010232/view.d..
[부대마크] 육군 기계화 학교 육군 기계화 학교 구 기갑학교 1953년 5월 15일 육군 기갑학교 창설 기갑학교가 창설 전에도 전차과, 전차 교육대로 존재했지만 기갑학교라는 이름은 1953년 사용되었다. 부대 패치와 미국의 기갑학교와 유사하다. 학교의 특성답게 포탄이 아닌 펜촉으로 되어있다. 삼 각 형 : 화살촉으로써 공격 부대의 최첨단을 의미 기갑부대 : 공격부대의 최첨단에서 적진을 과감히 돌격하는 공세적인 부대임을 의미 백색 태두리 : 기갑은 공격 부대의 핵심임을 의미 청 색 : 신속한 기동력(또는 보병부대)을 의미 적 색 : 막강한 화력(또는 포병부대)을 의미 황 색 : 충격효과(또는 기갑부대)를 의미 중앙의 전차 : 병과의 상징을 의미 펜 촉 : 학교를 표시 https://armynuri.tistory.com/1634 내 생명..
[부대마크] 육군대학 육군대학 1951년에 창설 2011 해체 된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이 부대표지는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추측된다. 또는 그대로 유지 할 수도 있고... 부대표지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하겠다. 언젠가 찾게 되면 재 업데이트 해야겠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7a1940a 육군대학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중견 장교를 교육시키기 위해 운영된 대한민국 육군의 옛 군사교육기관. 2011년 3군의 육군대학, 해군대학, 공군대학을 폐지하고, 합동군사대학교를 새로 설 100.daum.net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2072 육군대학 1951년 대한민국 육군의 중견 및 고급간부 장교를 교육시켰던 군사교육기관. 육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