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군

(118)
[부대마크]육군 3 사관학교 육군 3사관학교 부대표지 Korea Army Academy at Yeong-cheon (KAAY) 1968년 10월 15일 학교창설 원 : 조국 방위 상징 청색바탕 : 평화를 상징 백색원형: 단결을 표시 백색숫자 : 육군3사관학교 표시 황색사관 : 영혼불멸을 상징하며 사관은 국제신사 상징 학교 같은 경우 상대적으로 찾기가 쉽다. 하지만 복장에 따라 착용 하는 부대표지가 다르다. 추측으로는 학교니깐 동문회에서 따로 제작을 했거나 기타 복장 체육복이니 단체복으로 주문한경우 부착 되는 부대마크들이 있다. 참고로 아직 3사관학교 흔히 사제버전을 본적이 없다 사제버전이라고 하는것은 흔히 군에서 보급 받은 게 아니 외부 마크사에서 판매하는 마크를 의미한다. 좀더 이쁘다. https://www.kaay.mil.kr:..
[부대마크] 육군 1군단 육군 1군단 별칭 광개토부대 와 천하제일 1군단 부대표지 군단은 부대마크에 로마자로 표시되었다. 예를 들면 1군단(Ⅰ) 2군단 (Ⅱ) 3군단은 (Ⅲ) 로마자 표시된다. 다만 6군단만 다르다. 6군단의 경우 로마자가 표시가 안되어 있다. 로마자 Ⅰ : 1군단을 의미 테두리 : 대한민국 영토 청색, 황색, 백색: 통일 조국의 평화와 음양조화상태를 상징 청,황,백색은 5군단 부대표지와 비슷한 느낌이 든다. 물론 개인적인 느낌이다. 군단급 부대이기 때문에 유튜브 오래된 영상에서 마크를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크기에 비하면 과거엔 크기가 작았다. 부대마크도 과거와 큰차이는 없다. 과거에는 흔히 말하는 부대앞 마크사마다 제작을 하여 같은 지역이라도 기술자에 따라 색이나 모양이 조금 다르지만 전체적인 변화는 없다..
[부대마크] 육군 36사단 육군 제36 보병사단 별칭 백호부대 부대표지 3원을 합쳐서 가운데 6각형을 넣었다. 특이하게 보통 청,녹,황,적,백색을 주로 쓰는데 바탕이 자색으로 쓰였다. 자색: 영원불명의 뜨거운 전우애 3원 : 충성, 단결, 책임의 부대훈 6각별: 임전필승의 굳센기상 개인적으로 3개의 원 3, 6각형의 6으로 36사단을 나타내는게 아닐까 생각한다. 1955년 4월 20일 인제에서 창설 1955년 6월 경북 안동으로 이전 해안선 방어 1982년 7월 강원도 원주로 이동 예하연대 107연대 태백산 (책임지역: 정선, 영월,태백) 108연대 독수리 (책임지역: 횡성, 원주) 109연대 대관령 (책임지역: 평창, 홍천. 대관령 산악) 동영상을 참고하여 현재는 다를수 있음. 안동시절 백호부대 www.kbin.co.kr/new..
[부대마크] 육군 35사단 육군 제35 보병사단 별칠 충경 부대 부대표지 3개의 삼각형(?)또는 잎, 방패(?)로 연결되엇 3을 나타냈고 가운데 별을 넣어 5을 상징 했다. 외각에 세 개의 방패로 연결된 황색선: 삼천리 조국 강토의 수호를 의미 청색: 자연 우주계의 성결함과 평화 중앙의 적색: 조국 통일 성업 완수 황색 별: 육군 최고의 사단을 상징 사진속의 부대마크에서 별은 비스듬히 있다 하지만 잘못 찍은것으로 돌려서 보면 별이 정중앙에 위치한다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051028/4/BBSMSTR_000000010023/view.do 임진왜란 당시 전주성을 사수한 의병장 이정란 장군의 정신을 계승, 장군의 시호인 충경(忠敬)을 이어받아 충경 부대라 명했다 1955년 4월 20일 창설..
[부대마크]육군 32사단 육군 제32 보병사단 별칭 백룡부대 부대 표지의 의미 청색과 백색을 사용, 방패모양에 3으로 한반도를 형상화했고 별 두 개로 2를 나타냈다. 방패 : 국토를 수호하는 국군의 위용과 방패의미 청색 바탕: 자연 우주를 의미 백색 둘레: 정의로운 임무를 수행하는 사단 의미 2개의 별: 남/북극성으로 32사단의 2를 의미 한반도 형상: 반만년 역사를 지닌 강토의 자랑과 32사단의 3을 의미 부대 표지의 의미 출처 www.blog.naver.com/radartech/221902417414 참고로 위키 백과는 별을 십자성으로 설명되어 있다. 북 십자성은 백조자리 쪽이고 한국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남십자성은 남반구의 대표적인 별자리이다. 십자성 자리는 한국에서 보이지 않는다. 7사단의 경우 북두칠성으로 별자리를 ..
[부대마크] 육군 31사단 육군 31보병사단 충장부대 현 부대패치는 2013년에 변경되었다. 자수 타입 부대표지 6개의 각이 있는 방패 모양으로 녹색 바탕에 숫자 31을 불꽃을으로 형상화 했다. 그럼 상단이 5개의각은 무등산의 주요 봉우리를 형상한것일까?? 1. 전체외곽은 광주와 전남지역 수호를 의미하는 방패를, 방패 상단은 호남의 무등산을 형상화 2. 중앙의 불꽃은 31사단의 숫자 '31'을 불꽃모양으로 형상화하여 조국수호의 결연한 의지와 열정을 표현 3. 방패 외곽의 청색 테두리는 사단의 주요 임무인 2,514km의 광활한 서남해안의 철통경계를, 백색 테두리는 백의 민족의 순수성과 평화의 염원을 표현 4. 녹색 바탕은 '녹색의 땅 전라남도'의 상징색으로 전남과 지상군을 표현 5. 불꽃의 주황색은 빛고을 광주의 상징색으로 광주광..
[부대마크] 육군 30사단 육군 제30 기계화보병사단 별칭 필승부대 부대표지 부대표지는 적색과 백색으로만 사용하고 방패형과 조금 다른 하트 모양으로 부대표지를 나타냈다. 숫자 3을 돌려 백두산을 표현 , 행주산을 표현했다는 설명도 있지만 백두산이 맞는것 같다 숫자 0은 행주산성을 표현 자료 조사중 '행주에서 백두까지' 구호(?)있는것으로 확인 부대표지로 인한 상당한 이야기들이 있지만 멀리서 보면 몇사단인지 바로 알수 있다. 50년대부터 큰 변화는 없다. 색상도 빨간색. 흰색으로 정확한 의미는 찾지를 못했지만 추측 한다면 빨간색은 정열 흰색은 백의민족이 아닐까 추측한다. 포천에서 창설되었고 부대이동을 현재 고양에 자리 잡았다고 한다. 1955년 2월 20일 창설 1991년 10월 1일 기계화사단으로 개편 예하연대 90여단 비호 91..
[부대마크] 육군 교육사령부 육군 교육사령부 별칭 창조대 ROK Army Training & Doctrine Command 1951년 8월 1일 창설 1950년대 교육총감부로 시작 병과학교를 학교 체계로 확대하여 교육 총본부로 개칭 1960년대 전투병과 교육사령부 개편 1981년 육군 교육사령부 창설 부대표지3 동심원에 안에 원을 다시 3등분을 한 형태이다. 원형 3색 :전투, 전투지원, 전투근무지원 검은색 원주형: 무한한 발전 부대 명칭이 몇 번 바뀌었고 부대마크도 몇번 달라졌다. 부대마크는 3번 바뀐 것으로 생각된다. 첫 번째는 교육총감본부 시절로 1950년대 방패형 타입이다. 두번째는 전투병과교육사령부로 명칭이 바뀌었고 원형 타입으로 제병교육협동본부마크와 비슷하다. 그리고 1980년대 교육사령부와 다시 명칭이 바뀌면서 현재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