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장/흉장 1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대마크] 27사단 수색대대 27사단 수색대대 흉장 별칭 독수리 수색대대 불리는 것 같다 과거부터 흉장의 변경 모습이 없다. 독수리가 검은색인데 오래된 7~80년대로 추정되는 패치 중 황금색 독수리에 특공 글씨가 들어간 패치가 발견되어 이기자 수색대대 흉장으로 생각되지만 확인이 되지 않는다. 10년을 기점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다만 이후 다양한 색으로 흉장이 되었으면 대다수 마크사에서 만들었거나 전역 시 붙이는 용도로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언론에 노출이 많은 부대로 사진은 쉽게 찾을수 있다. 하지만 칼라 흉장을 사용한 지 오래되어서 부착 사진이 쉽게 보이지는 않는다. '수색병' 김태우, '27사단 수색대대 간판 됐다' ▲ 김태우를 중심으로 한 27사단 수색대대 안내판(사진=김정욱 기자)[화천(강원도)=이데일리 SPN 김은구기자].. [부대마크] 26사단 기갑 수색대대 흉장 26사단 기갑 수색대대 별칭은 호랑이 수색대대로 추정 흉장은 타원형으로 청색을 바탕으로 가운데 호랑이와 쌍칼이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그동안 느끼지 못했는데 홋줄로 숫자 26을 표현 26사단임을 나타내고 있다. 홋줄은 해군에서 많이 사용되는 상징인데.... 현재 까지 확인된 부대흉장은 대략 3종류된다. 첫번째는 투박한 형태로 얼굴만 있는 형태가 있고 추후 업데이트 두번재는 위에 있는 사진이다. 세번째는 두번째 패치와 비교해서 큰차이는 없다 다만 타원형 테두리에 각이 있거나 바탕색이 자줏빛이 있는 패치이다. 26사단 기갑수색대대 ‘영광의 호랑이’ 호칭 부여 - 경기일보 육군 26사단 기갑수색대대는 최근 ‘호랑이 정예 전투전사 선발대회’를 통해 장병들의 전투력을 한단계업그레이드 시키고 있다.호랑이 정예 전투.. [부대마크] 25사단 수색대대 25사단 수색대대 비룡 수색대대, 독수리 수색대대 부대 별칭은 올수리 부대로 추정된다. 부대 표지 주황색 바탕으로 독수리 가운데 배치, 독수리 발 부분에 '전투'라는 글씨가 있다.개인적으로 28사단과 함께 흉장이 깔끔하게 표현되었다.구글링을 통해 과거 흉장을 착용한 사진을 보면 79년도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좌측 포켓에 착용하고 79년도 흉장을 상당히 기울여서 부착했다.80년대는 위에 사진과 같은 형태도 달았다가 90년대에 기울여 달았다.현재는 오른쪽 포켓에 부착한다. 과거 부터 부대 표지의 큰 변화는 없는 것 같다.가슴 흉장과 달리 캡모(?) (동어 반복 아닌가?)에 부착했던 별도의 표지가 있었다.이 표지또한 구글링을 통해 빨간색과 녹색으로 된 캡모 표지를 확인하였다. 특이점으로 25사단의 별칭.. [부대마크] 23사단 수색대대 육군 제23 사단 수색대대 철벽 수색대대 부대표지 부대 위치를 대략적으로 알수 있게 산과 바다가 있다. 어차피 검색하면 부대위치를 알수 있다. 부대를 상징하는 동물이 호랑이로 추정된다. 23사단의 경우 과거 68사단이 전신으로 96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으로 내실화하면서 23사단으로 재편되었는데 당시 68사단 수색대 부대표지를 그대로 쓴것 같다. 지금까지 자료 조사를 하면서 부대마크는 바뀌고 수색대 흉장은 그대로 사용하는걸 보면 특이한 사례는 확실하다. 대부분 해체하는 부대는 흡수되는 부대 마크를 쓰고 단대호만 유지 하는 경우가 있다. 과거의 기준으로 23사단과 비슷한 사례는 17사단이다. 17사단의 경우 33사단이 전신이며 82년도에 33사단은 해체되고 17사단이 창설되었다. 형식은 해체,창설이지만 부대.. [부대마크] 22사단 수색대대 육군 제22 사단 수색대대 부대표지 율곡 수색대대 , 별칭은 황룡 수색대대로 추정된다. 부대표지 직조 타입으로 21사단 수색대대와 같이 직조 바탕에 산을 자수로 표현했다. 90년대 이후 버전 90년대 초까지는 타원형에 각이 있는 형태이다. 이 도안은 80년대 후반또는 90년대 초기에 나왔고 초기 버전은 독수리가 있었다. 가운데 독수리가 있고 아래에 산을 표현 그리고 독수리 위에 적색원에 수색이라는 글씩가 들어가 있다. 초기형 황금독수리, 70년대~ 80년대초 추정 두번재 백독수리, 80년대 이후 추정 세번째 갈색이 추가된 독수리, 87년까지 사용확인 마지막 황룡으로 변했다. 아직까지 초기형 부터 세번째까지 버전은 구하지 못함. m.sportschosun.com/news.htm?id=201505260100.. [부대마크] 21사단 수색대대 21사단 수색대대 백두산 수색대대 별다른 별칭은 아직 찾기 못함 다만 예하 수색중대로 백호라는 별칭을 사용한걸 확인 타원형표지로 태극바탕에 독수리와 산, 별등으로 구성하였다. 아랫부분은 산은 3개의 봉우리가 있다. 부대표지에 상징되는 백두산, 금강산, 한라산으로 추측된다. 다만 특이점으로 별이 10개가 있다. 두줄로 나뉜형태로 윗줄 7개 아랫줄 3개로 7×3=21을 상징하는게 아닐까 추측된다. -부대 별칭을 아시는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01년도 방송된 다큐멘터리 [부대마크] 20사단 기갑수색대대 육군 20사단 수색대대 부대 표지 직조 타입 전우회의 별칭이 도깨비 전우회로 불려서 상당히 의아하다. 올빼미나 독수리가 아닌... 도깨비.. 아무튼 이유는 모르겠다. 90년대 초 보다 밝은 노란색이 바탕이 되었다. 기계화 사단처럼 부대 표지에 전차가 들어가 있다. 또한 당시 부대표지가 마찬가지로 90년대 초까지 각이 있던 형태가 사라지고 둥근 타원 형태로 되었다. 참고로 아직까지 자수 타입 흔히 사제 버전은 보지 못했다. 참고로 80년대 버전은 다른 것으로 추측된다. --- 80년대 결전부대는 기계화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그렇다면.. 76년도(수색대 부대표지 공식 착용)~80년 초 까지 대략 4~5년은 보병사단이었다. 그럼 당연히 수색대의 부대 마크도 달랐을것 같다. 개인적인 추측을 하면 70년대 버전.. [부대마크] 17사단 수색대대 17사단 수색대대 별칭 독거미 수색대대 추정 독거미는 여러 웹사이트에서 17사단 수색대대의 패치를 독거미라고 부른 것이 확인되었다. 물론 타부대에서도 독거미라는 별칭은 사용하는 곳이 있다. 상징하는 동물들이 비슷하다보니 명칭도 돌고 도는것같다. 우스갯소리로 전역자들 댓글을 보면 현역시절 개미마크라고 불렀다고 하는 댓글을 본적이 있다. 수색대대 흉장의 경우 바탕이 하늘색으로 되어 있다. 직조 방식으로 제작되었지만 뒷면을 보게 되면 부직포로 되어 있다 부직포는 과거에도 있었을수 있지만 00년대 이후로 제작되었고 그전에는 일반적으로 광목이라는 천을 사용했었다. 위사진은 거의 최후기형 얼룩무늬 마크로 바뀌기전 마지막 시기로 생각된다. 수색중대의 경우 바탕색이 다르다 청색, 갈색. 녹색 바탕으로 되어 있으며 거미..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