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군

(118)
육군 정보 학교 신, 구형 육군 정보학교 구형 마크 구형 패치는 원형 패치로 박쥐로 상징했다. 국방일보 기사에서 동물로 부대 상징을 나타냈다고 독특하다고 하였는데 가지고 있는 부대마크중 학교기관은 육군항공학교와 정보학교만 동물이 있다., 국방일보 국방일보 kookbang.dema.mil.kr 국방일보 마지막 줄에 부대마크에 대한 설명이 있다. 내용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찾아 볼 수 있다는것에 감사하다. 구형 정보학교의 마크는 원형으로 청색 바탕에 가운데 박쥐가 있다. 그리고박쥐 가운테 횃불과 펜촉이 표시 되어 있어 교육기관이라는 의미를 나타냈다. 육군 정보학교 코인 #육군 #정보학교 코인입니다. #월수금 #daily #군대코인 #부대코인 #밀리터리코인 #밀리터리 #국방부 #mili... blog.naver.com 코인) 육군..
육군 정보 학교 육군 정보 학교 ROK Army Intelligence School 정보 병과 교육을 맡고 있는 육군의 군사학교 기관이다. 위의 패치는 2009년도에 변경되었다. 과거 정보, 정찰을 상징하는 의미로 박쥐가 대표적이었다. 은밀성과 야행성으로 8~90년대에 존재했던 정찰대, 정보병과는 대부분 박쥐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2009년 박쥐의 부정적인 이미지(배신)로 인해서일까? 독수리로 변경되었다. 구형 정보학교 패치는 원형이었지만 현재는 방패형으로 바뀌었고 의미를 알 수 없는 빨간색, 청색 사이에 독수리가 있다. 처음 이 패치를 봤을 때 정보학교라고 생각을 못했다. 당연히 박쥐로 상징했을 것이라고 믿었는데 독수리여서 의외로 놀랐다. 참고로 공군의 경우 정보와 관련된 부분은 박쥐로 상징을 했다. 그리고 바탕색은..
[부대마크] 육군 동원 전력 사령부 2018년 창설된 부대 동원 전력 사령부로 예비군 사령부이다. 부대마크는 육군 본부 마크에 예비군 마크를 덧씌운 형태로 되어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아직까지 육군본부 마크의 의미를 모르겠다. 최근에 홈페이지도 개편되었는지 육군휘장에 대한 의미도 안 보인다. 동원 전력 사령부는 2018년 창설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위의 마크처럼 칼라형 마크는 존재하지 않았다. 창설식 사진을 보면 칼라가 아니 흑백 마크를 부착하고 있다. 육군 동원전력사령부 창설…예비군 정예화 본격 착수 초대 사령관에 구원근 소장…"전쟁 승리 마중물 역할 할 것"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예비군 정예화를 추진할 육군 동원전력사령부가 제50주년 예비군의 날인 6일 창설식을 하고 본격적인 n.news.naver.com 창설식 기사로 초대..
[부대마크]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의무사령부 약칭 의무사 국군의 의무 사령부는 군 병원, 의무학교, 의학연구소로 구성된 군 의료 기관으로 군 장병 치료 및 군 전문 의료인력양성을 임무를 가지고 있다. 의무사의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부대마크를 확인한 시기는 얼마 되지 않았다. 오히려 과거의 부대마크는 존재했는지 의문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전 의무사 마크가 제작이 되었고 다행히 입수 할 수 있었다. 부대마크의 의미 방패 : 진정한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서는 미리 예방해야 한다는 의미 십자가 : 헌신과 사랑 횃불과 뱀 : 봉사와 지혜. 의료를 상징 비둘기 날개: 평화와 사랑 기원 태극 문양 : 의무부대원의 상호 조화를 통한 부대 발전 노란색: 생명과 회복 자주색: 혈액의 색이며 의무병과 고유색상 백색: 희생과 봉사의 정신 의무사 ..
[부대마크] 이기자 부대 2 지난 9월 초 이기자부대의 해체의 공식적인 기사가 발표되었다. 잠시 현생이 바빠 신경을 쓰지 못했고 기사로 상당히 놀랬었다. 카더라 통신에 의하면 27사단의 경우 '한국전 때 군기를 빼앗겼다. 그래서 이기자 명칭을 쓴다'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그것을 사실이 아니다. 창설 연도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 9월에 창설되었다. 즉 전쟁중에는 이기자 부대는 존재 하지 않았다. 오래된 이기자 부대 마크를 보여 주고 싶지만 소장하고 있는 부대마크가 적어서 추후에 정리를 할 생각이다. 운이 좋게 최근에 나온 여단급(연대)을 마크를 입수했고 이번 기회에 정리를 했다. [ 부대마크] 육군 27사단 제27 보병사단 별칭 이기자부대 부대 표지 적색을 바탕으로 백색으로 테두리와 부대 별칭을 적었다. 사단 마크 중 유일한 한..
[부대마크] 이라크 평화 재건 사단 부대 고유 명칭: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올리브는 아랍권에서 평화와 안전을 상징하는 의미로 점령군의 이미지를 불식하고 평화정착과 재건지원이라는 부대임무를 고려 하여 '자이툰'으로 정했다 부대표지의 의미 중앙의 태극: 대한민국을 의미 올리브 잎의 의미 : 이라크의 평화와 재건을 희망하는 한국군의 굳은 의지를 표현 ZAYTUN: 부대영문 표기명 부대기에서는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으로 적혀 있다. 위의 부대마크는 사용했던 부대 마크는 아니다. 당시에 왼쪽 어깨에 태극기만 있었고 공식적인 복장에서는 부대 마크는 없었다. 태극기가 유일했다, 위의 패치는 기념용으로 만들었진것으로 생각된다. 또는 모자에 붙이기 위해서 제작되었던 것을 시중에 풀리게 되어 구할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당시에 파병 다녀온 군인에..
육군 보병학교 육군 보병학교 ROK Army Infantry School 교육과정 중 병이 없는 교육기관이다. 보병병과의 초급 간부라면 임관후 이곳에서 교육을 받는다. 부대 연혁 위키의 내용으로 보면 복잡한것 같다. 검색한 자료도 복잡하고 정리가 잘된 위키로 참고 하였다. 1949년 육군 보병학교 설립 1952년 육군 종합학교과 통폐합 육군 종합학교는 종합행정학교와 다른기관으로 전쟁중 초급 장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괸 기관이다. 전시 사관학교 개념으로 볼 수 있다. 6·25 당시 ‘장교 양성의 산실’ kookbang.dema.mil.kr 육군 종합 학교 기사 육군종합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학교에 대한 설명이 잘 정리되어 있다. 부대표지 청색: 진리에 대한 탐구 적색: 정..
수도 기계화 사단 기념용 버전 수도 기계화 사단 2022년 흑호의 해로 첫 업로드는 호랑이와 관련된 부대마크를 선정했다. 부대마크 중 호랑이가 수기사 맹호 마크가 유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흉장은 제외했다. 예하 부대에서는 호랑이의 강인함과 용맹함으로 상징성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단급 이상 부대에서는 맹호부대마크가 유일한 것 같다. 공군이나, 해군에서도 상급부대가 아닌 예하 부대에서 호랑이를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공군은 111대대, 해군은 잠수함 신돌석 함이 있다. 태백산 호랑이라는 별명을 가진 독립운동가 신돌석을 기려 신돌 석함으로 명명한 잠수함에서 호랑이를 상징했다. 의외로 해병대에서는 호랑이가 보이지 않는다. 중대급에서 호랑이와 관련된 별칭을 사용하지만 여단급 부대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아무튼 위에 맹호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