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7)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대마크] 육군 22사단 육군 제22 보병사단 율곡부대 부대 표지 자수 타입 청색을 바탕으로 백색으로 22사단을 형상화했다. 종: 평화를 상징 청색 : 통일염원과 평화를 상징 22: 우레로 형상화, 번개 같은 공격 정신 상징 흰색: 우레의 강력한 힘과 밝은 희망을 표현 22사단의 경우 이승만 대통령이 창설 당시 부대기를 친수하며 정해준 이름으로 '우뢰와 같이 적진을 공격해 통일의 종을 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후, 2003년에 사단이 새롭게 도약하고자 부대 이름을 '율곡'으로 변경하였다. 새롭게 바뀐 부대 이름은 율곡 이이 선생의 유비무환(有備無患) 정신을 계승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 22사단의 '22'라는 숫자가 이이 선생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도 율곡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유 중 하나이다. - 동고동락 블로그 인.. [부대마크] 5사단 수색대대 5사단 수색대대 열쇠 비마 수색대대 개인적으로 흉장 속에 낙하산 5개는 5사단 수색대대를 의미하는 것 같다. 구름 사이에 있는 낙하산, 그리고 다른 낙하산을 보면 입체적으로 사람의 형태를 넣은 것처럼 보인다. 이 부분이 나만 느끼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원근감을 줘서 낙하산의 크기가 다르고 흉장안에 크기가 작은 낙하산 끝부분에는 H자처럼 사람의 형상을 넣은 것으로 생각이 든다. 그러나 확인된 것은 없다. 다만 낙하산을 이용해 수색대의 임무를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그리고 타 부대 표지에서 볼 수 없는 구름이 있다. 의외로 자수버전이 안 보이는 패치 중 하나인 것 같다.다른 수색대 흉장의 경우 자수로 제작되어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는데 유독 비마 수색대 흉장은 자수 버전이 보이지 않고 직조 버전의 형태만 보인다... [부대마크] 3사단 수색대대 3사단 수색대대 백골수색대대 부대표지 13년도 사단패치가 변경전 백골이 들어간 패치 초창기 5~60년대 사단 부대표지와 비표에서는 백골표시가 되어 있었음 다른 수색대 흉장와 달리 박쥐가 들어가 있다. 그래서 처음 보면 정찰대로 오해하기 쉽다. 타 사단의 경우 보통 용, 독수리, 호랑이가 많다. http://m.blog.daum.net/vkdnjdlwodnjs/3306795 사진출처 80년대에는 수색대 패치를 왼쪽 포켓에 달았다 이후 90년대 이후로는 오른쪽 포켓위에 달았던것 같다 80년대는 팔각모를 착용하였고 백골부대의 경우 일반적인 공수윙을 착용했던것 같다 다른 수색대를 보면 별도의 모장이 따로 있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 [부대마크] 육군 21사단 육군 제21 보병사단 백두산 부대 1953년 1월 15일 창설 -부대표지- 백두산부대 마크는 둥근 모양의 파란색 바탕에 세 개의 하얀색 산봉우리가 새겨져있는 모양 청색원: 우주를 상징 백색원: 단결을 의미 솟아있는 세 개의 봉우리 : 민족의 기백을 담고 있는 명산인 백두산과 금강산, 한라산을 상징 이는 백두부터 금강까지 전 국토를 아우르는 통일을 이룩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놓은 것 -국방부 블로그인데 왜 백두에서 금강으로 설명을 했을까? 한라가 아니고...- -산봉우리를 7로형상하고 3개가 있어 7×3=21로 21사단을 상징 2000년대 이후 밝은 청색을 사용, 90년대에는 어두운 청색을 사용함 80년대 초 2 peice의 형태의 부대 표지를 사용함 즉 원형 천에 위에 산 모양과 원을 미리 잘라놓고 그위에.. [부대마크] 육군 통신학교 육군 통신학교 부대 표지 청색원: 우주의 전파를 의미 통하라: 학교와 병과의 슬로건으로 반드시 통해야 함을 의미 내부 등색: 통신병과의 정색(주황)이며 형태는 대한민국 지형을 의미 중앙 별: 육군 고주파로 통한 찍어내기 방식(?)으로 일명 장판지 패치라고 부르는 패치이다. 사실 이 부분은 제작 방법을 본 적이 없어서 정확하게 잘 모르겠다. 조선 경비대 시절(1946년경) 부대마크와 다른 것 같다. 현재의 부대표지를 언제 시행했는지에 대한 자료를 찾을 수 없다. 부대 연혁 사관학교 이후 47년 1월에 창설된 학교 1947.01.20 국방경비대 통신학교 창설(진해) 1947.10.23 서울 이동 1950.08.21 육군 통신 학교 재 창설 (부산) 1951.11.10: 광주 이동 1960.05.01: 대전 .. [부대마크] 육군 20사단 제20 기계화보병사단 별칭 결전부대 부대표지 설명글 초창기 부대표지 설명글 '저작권 문제로 사진은 첨부하지 못함' 민족의 자유와 전세계의 평화를 위하여 백의민족과 전 세계가 총궐기하여 공산 오랑캐를 무찌르는 선봉이 됨을 상징합니다. 내부의 원형은 천제를 표시하며 청년의 특징인 용감성과 결백성을 상징하며 또한 평화의 상징입니다. 백색은 순수한 혈통을 계승하는 백의민족 단일민족을 상징합니다. 적색은 공산주의가 자유세계에서 그 세력을 축소파멸함을 상징합니다. 외곽 윤곽의 연하는 둥근 모양은 철모를 형을 그린 것으로 개인의 방패로서 완성된 전투준비와 개인의 피해를 방지하며 전승하는 근본임을 상징합니다. 전체의 반형은 로마자를 표시한 두 개의 X로서 20을 표시하며 외곽의 백색은 부호로서 XX사단을 표시한 것으로.. [부대마크] 2사단 수색대대 2사단 수색대대 설비호 수색대대 육군자료집에 따르면 76년도 수색대 부대표지가 공식적으로 착용되었다. 2사단의 경우 전투복에 공식착용되었고 육군 스키부대 독립 흉장도 겸용으로 착용하였다. 따라서 전투복은 수색대, 야상에는 스키부대 흉장을 패용하였는데 아직 스키부대 부대표지의 경우 구하지 못함 스키부대의 경우 81~82 마지막 훈련으로 스키부대의 흉장도 사자리게 되었다. 다른 부대와 차이점은 수색대 흉장이 두개였다는 점이다. 이 경우 공군 제1 비행단에서도 볼수 있다. 수색대 흉장에 전체적인 형태는 타원형으로 바탕은 청색 가운데 적색을 배치하여 2사단의 부대표지를 형상화한것 같고 가운데 호랑이를 중심으로 좌우 칼(?)을 배치한것 같다. - 이부분은 1대 대대장으로 역임하신 오점록 장군께서 좌우의 칼은 성난.. [부대마크] 1사단 수색대대 1사단 수색대대 전진수색대대 1975년 11월 13일 각 부대 특성을 나타 낼수 있는 표상을 새긴 타원형 표지로 제정 승인 76년 4월 1일부터 근무복 전투복 야전상의 좌측 주머니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지만 지휘관에 따라 좌,우 주머니가 달라진다. 부대표지는 독수리가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가운데 1사단 부대표지가 있다. 전진 수색대대의 부대표지는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현재와 유사한 느낌의 부대표지도 있지만 모양이 다른 독수리 버전도 존재. 부대연혁 blog.daum.net/loveandmy/2989 [스크랩] 천하제일 전진 수색대대, 제1사단 수색대대 전투 영웅들의 애국심과 전우애!! "죽을지라도 패할 수 없다." 천하제일 전진 수색대대, 제1사단 수색대대 전투 영웅들의 애국심과 전우애!! 강하..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