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8)
102 기갑 여단 102 기갑여단 The 102nd Infanty Brigade 일출부대 방패 형태로 102라는 숫자를 넣었다. 방패형태지만 사단급 부대와는 특징이 다르다. 사단급의 방패형 마크는 상단에 꼭짓점이 있지만 102 여단에서는 하단에 꼭짓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0'이 있는 부분은 적색을 적어 부대명처럼 태양을 형상화했다. 방패 : 임전무퇴의 기상 국가에 대한 충성 청색: 끝없는 발전과 희망 적색: 불타는 충성심, 조국을 비추는 태양 숫자 102 : 제102 기갑여단 여단급 부대들은 오래전부터 자료를 찾아봤지만 쉽지 않았다. 그나마 102 여단의 경우 현재 기갑여단으로 임무가 바뀌고 부대가 존속하여 다행히도 부대마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102 여단 연혁 1988년 6월 1일 창설 2008년 9월..
육군 정보 학교 신, 구형 육군 정보학교 구형 마크 구형 패치는 원형 패치로 박쥐로 상징했다. 국방일보 기사에서 동물로 부대 상징을 나타냈다고 독특하다고 하였는데 가지고 있는 부대마크중 학교기관은 육군항공학교와 정보학교만 동물이 있다., 국방일보 국방일보 kookbang.dema.mil.kr 국방일보 마지막 줄에 부대마크에 대한 설명이 있다. 내용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찾아 볼 수 있다는것에 감사하다. 구형 정보학교의 마크는 원형으로 청색 바탕에 가운데 박쥐가 있다. 그리고박쥐 가운테 횃불과 펜촉이 표시 되어 있어 교육기관이라는 의미를 나타냈다. 육군 정보학교 코인 #육군 #정보학교 코인입니다. #월수금 #daily #군대코인 #부대코인 #밀리터리코인 #밀리터리 #국방부 #mili... blog.naver.com 코인) 육군..
육군 정보 학교 육군 정보 학교 ROK Army Intelligence School 정보 병과 교육을 맡고 있는 육군의 군사학교 기관이다. 위의 패치는 2009년도에 변경되었다. 과거 정보, 정찰을 상징하는 의미로 박쥐가 대표적이었다. 은밀성과 야행성으로 8~90년대에 존재했던 정찰대, 정보병과는 대부분 박쥐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2009년 박쥐의 부정적인 이미지(배신)로 인해서일까? 독수리로 변경되었다. 구형 정보학교 패치는 원형이었지만 현재는 방패형으로 바뀌었고 의미를 알 수 없는 빨간색, 청색 사이에 독수리가 있다. 처음 이 패치를 봤을 때 정보학교라고 생각을 못했다. 당연히 박쥐로 상징했을 것이라고 믿었는데 독수리여서 의외로 놀랐다. 참고로 공군의 경우 정보와 관련된 부분은 박쥐로 상징을 했다. 그리고 바탕색은..
[부대마크] 육군 동원 전력 사령부 2018년 창설된 부대 동원 전력 사령부로 예비군 사령부이다. 부대마크는 육군 본부 마크에 예비군 마크를 덧씌운 형태로 되어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아직까지 육군본부 마크의 의미를 모르겠다. 최근에 홈페이지도 개편되었는지 육군휘장에 대한 의미도 안 보인다. 동원 전력 사령부는 2018년 창설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위의 마크처럼 칼라형 마크는 존재하지 않았다. 창설식 사진을 보면 칼라가 아니 흑백 마크를 부착하고 있다. 육군 동원전력사령부 창설…예비군 정예화 본격 착수 초대 사령관에 구원근 소장…"전쟁 승리 마중물 역할 할 것"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예비군 정예화를 추진할 육군 동원전력사령부가 제50주년 예비군의 날인 6일 창설식을 하고 본격적인 n.news.naver.com 창설식 기사로 초대..
해군 해양 전술 정보단 그동안 현생이 바쁘다 보니 수집도 덜하면서 블로그 관리도 무신경 해졌다. 우연히 최근에 수집한 물건이 있었는데 처음 보는 부대였다. 그동안 많은 수집을 하면서 한 번쯤은 이름을 들어봤다고 생각했는데 해군은 쪽은 아직도 처음 듣는 부대가 많이 있다. 이 수집품은 코인으로 생각되지만 코인이 아닌 문진이었다. 원래 사각형 레진에 들어가야 할 물건이 어찌 되었는지 코인처럼 남았다. 해군 해양 전술 정보단은 구 명칭이며 현재는 해군 해양 정보단으로 바뀌었다. 약칭 해정단이라고 부른다. 영문명을 보면 현재는 naval을 쓰는데 당시에는 maritime을 사용하였다. 보통 maritime을 해경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였다. 그리고 저 문진의 제작시기는 알 수 없지만 '단'급 부대이지만 command를 사용하였는데 우리..
해군 사관학교와 관련된 뱃지 해군 사관학교 관련 배지 예전에 수집하러 진해, 마산을 가면서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던 배지이다. 좌측의 배지는 해사 외에는 용도부터 파악하기 힘들고 우측의 학보사는 교내 신문을 제작하는 곳인데 워낙 소수라서 부착한 사관생도를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아직 육군사관학교, 공군 사관학교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국간사에서도 편집국이라고 하여 별도의 배지가 있다. 추측하기로는 학교 내에서 별도의 배지가 있는 동아리(?), 단체(?)는 학보사가 유일한 것 같다. 또는 아직 보지 못한 것일 수도 있고... 둘 다 사용 시기는 알 수 없고 학보사도 신, 구형인지 아니면 직책에 따라 부착하는 배지가 다른것인지 알 수 없다. https://www.navy.ac.kr:10001/plaza/siteinfo12.jsp http..
중립국 감독 위원회 NNSC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조인된후 정전협정의 이행과 준수를 감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중립국 감시 위원단은 유엔사 측이 추천한 스위스, 스웨덴과 공산당측에서 추천한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4개국의 고급장료 구성되어 있다. 현재는 중립국 감시소조의 활동이 거의 없어 유명무실한 상태, 특히나 1990년대 중반 북한이 정전협정 무력화 차원에서 중립국 감시위원단 구성국의 철수를 요구하여 1993년 4월 체코 대표단, 1995년 폴란드 대표단이 떠남으로 사실상 활동이 정지된 상태, 현재는 유엔군 측 추천국인 스위스와 스웨덴 대표과 매일 회의를 하며 폴란드 대표도 1년데 한두차례 판문점을 방문 함으로 명백을 유지하고 있다. 우..
공군 남부 전투 사령부 공군 남부 전투 사령부 AIR FOECE SOUTHERN COMBAT COMMAND 연혁 2003년 7월 1일 ~ 2015년 12월 공중 전투 사령부 개편 부대마크의 의미는 현재 공중 전투사령부의 마크의 의미와 비슷한 걸로 추측된다. 공중 전투사령부는 조금 바뀌었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남부 전투사령부 부대마크와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방패: 절대로 뚫리지 않겠다는 영공방위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상징 4개의 색: 공군의 4대 핵심가치를 상징 청색 바탕: 대한민국 영공을 의미 태극문양: 대한민국을 상징하며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의미 위에 의미는 현재 공중 전투사령부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3개의 줄 의미가 공중 전투사령부와 남부 전투사령부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선 공중사에서 3개의 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