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8) 썸네일형 리스트형 육군 종합 행정 학교 육군 종합 행정학교 ㅊ 남성대 육군 종합 행정학교로로 군사경찰(헌병), 재정, 인사, 법무 , 군종의 교육이 이루어 지는곳이다. 초창기에는 행정학교는 없었다. 1968년에 개교되었는데 당시의 행정학교였다. 이후 각 학교들을 통합하면서 현재 종합 행정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부대마크 6각형: 조국 수호, 방패 백선: 교육과정의 통합, 국가간성 바탕색: 태극, 한민족의 정통성 별: 육군 불: 배움의 앞길을 밝힘, 승리 쟁취 행정학교의 마크는 현재와 모습이 다르다. 초창기 마크는 원형에 [행정]이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다. 위키 사이트에는 2011년도에 명칭이 바뀌었것으로 나오는데 과거 기념품을 보면 종합이라는 명칭은 예전부터 썼던것으로 생각된다. ROK Army Adminstrative School 70년대 .. 육군 방공학교 육군방공학교 ROK. Air Defense School육군 방공학교 부대마크로 학교 기관 중에 2001년도에 창설되었다. 이후에 창설된 KCTC도 있지만 단급 부대 학교 기관으로는 육군 방공학교가 마지막으로 생각된다. 91년도 육군에서 공군으로 방공포병을 전군식을 하였다. 육군에서는 방공포병의 존속을 희망하였지만 8.18 계획(국방태세발전방향 연구)이 본격적으로 연구되면서 방공포병 공군 전군 문제가 다시 거론되었고 단일화된 지휘체계로 효율성 증대시키는겠다는 것으로 공군으로 전군 되었다.이후 육군에서도 단거리 방공 무기를 운영하였고 전군 이후 대구에 있는 공군 방공포병학교에서 위탁 교육을 받다가 2001년도 방공포병과가 재창설되면서 학교도 재창설(?)또는 창설되었다. 부대마크부대마크는 다른 학교기.. 육군 화생방학교 육군 화생방학교 오랜 시간을 검색을 하고 수집을 하러 찾아다녔지만 소장품 중에 위의 버전 한 개만 있다. 긴 역사를 가졌지만 이상하리 만큼 정보가 없다. 특히나 육군 역사 사진집을 보면 화학학교는 나오지도 않는다. 그래서 위키 사이트의 개교기념일 1958년이라는 것에 대해 맞는 정보인지 의구심이 들기도 했지만 화생방학교 코인에 since 1958이라는 걸 보고 믿을 수 있었다. 부대마크 별: 육군 적색바탕: 화생방 오염지역 흰색테두리 : 보호/제독 증류기: 화학병과 펜촉: 학교 백, 적, 황 3가지 색을 이루고 있으면 방패형 타입이다. 빨간색을 테두리와 바탕색을 백색은 내부 테두리에 펜촉 그리고 황색은 별과 초기 화학 병과 였던 벤젠의 6 각형에 증류기 2개를 모습을 이용하여 벤젠이 빠지고 가운데 펜촉을.. 육군 포병 학교 육군 포병학교 ROK Field Artillery School 부대마크 사각형으로 적색과 파란색을 대각선으로 가른 형태로 되어있다. 가운테 포병무기가 있고 하단에 리본형태로 '알아야 한다' 학교 구호가 있다. 외부 백색: 단결 적색: 충성심과 포병화력 청색: 평화 내부모형: 화포의 원형 알아야 한다. 학교 훈 육군 포병학교는 자료는 인터넷에 많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관련 자료가 없다. 특히나 초창기 부대마크를 찾을 수 없는 게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알아햐 한다 의미 육군포병학교는 ‘알아야 한다’를 구호로 하고 있다. 포병 창설 당시 관측자 자신이 복잡한 계산 과정을 암산해 차후 수정을 하달하는 포술의 난해성으로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는 말이 당연시된 것이 구호 탄생의 배경이다. 그러던 것.. 26사단 신병교육대대 흉장(뱃지) 26사단 신병 교육대대 흉장 오래전부터 금속 흉장을 모을 기회는 많았지만 딱히 구하지는 않았다. 포제로 된 패치에 비하면 가격이 비싸기도 하였고 그러다 보니 흉장은 포기했는데 오랜만에 운 좋게(?) 26사단 신병교육대대 흉장을 구하게 되었다. 위의 흉장은 신병교육대대 조교들이 착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휘관급은 별도의 지휘관 흉장이 있으니 달지 않았을 거고 부사관들도 D.I라는 패치를 별도록 부착했다. 그러다 보니 위의 흉장은 병사들이 달았을 것을 생각된다. 2010년도 기점으로 육군훈련도에서는 조교들이 금속으로 된 흉장을 착용했었다. 그러나 10년도 이후 우수 분대장 병사에게만 지급된 것으로 파악이 된다. 이 부분은 육군훈련소만 해당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도 해당이 되는지 알.. 103 보병여단 101 보병여단 101 보병여단 1982년 창설 별칭은 임진강결사대, 무적부대였다. 부대 마크는 방패형 타입으로 상단에는 4개, 하단에 3개의 꼭짓점이 있다. 다른 부대마크와 비교하면 방패형이지만 꼭짓점이 많다. bias123.tistory.com 102 기갑 여단 102 기갑여단 The 102nd Infanty Brigade 일출부대 방패 형태로 102라는 숫자를 넣었다. 방패형태지만 사단급 부대와는 특징이 다르다. 사단급의 방패형 마크는 상단에 꼭짓점이 있지만 102 여단에서는 하 bias123.tistory.com 101 여단 102 여단을 거쳐 103 여단까지 왔다. 사실상 102 여단은 기갑여단으로 되어있어 보병여단 시절의 부대마크는 다루지 않았다. 제103 보병여단 미추홀 부대 1993년 창설.. 101 보병여단 101 보병여단 1982년 창설 별칭은 임진강결사대, 무적부대였다. 부대 마크는 방패형 타입으로 상단에는 4개, 하단에 3개의 꼭짓점이 있다. 다른 부대마크와 비교하면 방패형이지만 꼭짓점이 많다. 청색과 백색으로만 되어 있으면 앞뒤로 I, O, I 형태로 숫자 101을 표현하여 대략적으로 101 여단인 것 알 수 있다. 해체된 지 10년이 넘어 부대의 의미는 알 수없지만 부대 특성상 강안경계가 있어 청색은 물을 뜻하는 게 아닐까 생각된다. 1982년에 창설되어 2007년도에 해체되었다. 이 시기에 독립여단 101,102,103 여단들이 해체되었다. 101여단 1984년 만우리 35고지 일병시절 &n... blog.naver.com 1984년 근무한 분의 블로그로 이 84년 당시에는 부대마크를 착용하지 않.. 특수전 사령부 특수전 사령부 ROK Special warfare command 사자부대 특전사 부대마크로 왼쪽 어깨에 부착한다. 사령부와 예하부대도 이 패치를 착용하고 있다. 다만 가슴에 흉장으로 각 예하 부대를 표현한다. 부대마크 의미 백색원 : 지휘관을 중심으로 한 단결 상징 푸른색 원 : 특전부대가 활동하는 하늘과 바다를 상징 붉은색 원 : 지치지 않는 정열과 기백 상징 낙하산 : 특전부대 기본 침투수단 상징 독수리: 하늘의 왕자로서 용맹한 활동을 상징 번개 : 정보전하에서의 신출귀몰한 속도 상징 대검 : 무성무기에 의한 유격전, 특수전 상징 위의 마크를 보면 특수부대의 임무와 함께 마크를 잘 설명되어 있다. 그동안 여러 종류의 특전사 마크를 수집하면서 독수리 아래 그림의 의미(번개)를 몰랐는데 이번에 제대로 알.. 이전 1 2 3 4 5 6 ··· 2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