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8)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병대 앵카 마크 해병대 마크로 다양한 버전이 있다. 앵카 마크라고 지칭하는데 이유는 모르겠다. 아시는 분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공식적인 패치는 아니고 대부분 부대 앞에서 만든 일명 사제 패치로 마크사마다 색상, 그림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리고 현역 보다는 전우회에서 단체복에 입을 때 종종 봤던 기억이 난다. 하단 기계자수로 된 마크는 오래전 외국에 구입했던 걸로 기억한다. 다른 물건이랑 교환하면서 얻었던 마크로 7~80년대 연합훈련으로 한국에 왔다가 구입했던 것이라고 이야기했었다. 긴 시간을 돌고 돌아 다시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해병대 마크 해병대 일반적으로 전역복용이나 가방등에 부착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 해병대 홈페이지에 있는 원문을 그대로 가져왔다. 싸움터 어느 곳에서나 영광을 쟁취하였던 해병대를 상징하.. 용마 기동대대 육군 제57 보병사단 용마 기동대대 57사단 기동대대 흉장으로 노란색 바탕에 가운데 57을 뜻하는 사단마크와 용으로 형상화했다. 또한 좌 우측 별을 5개,7개를 배치하여 57을 나타내고 있다. 흉장은 아직까지 두개의 형태만 발견되었다. 제조사의 차이로 바탕이 되는 노란색의 변화는 있었지만 그림의 큰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사진속 흉장은 각이 없는 둥근 타원형이지만 과거에 각이 있는 형태의 흉장이 발견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각있는 타원형의 경우 사용확인이 되지 않는다. 마지막 얼룩무늬 버전도 제작은 되었다. 부대해체가 2011년이라서 다행인지 직조와 자수 두버전 모두 제작이 되었고 그림의 변화는 생겼다. 용마 기동대대 흉장을 마지막으로 대대급 흉장은 모두 업로드 되었다. 간혹 인터넷에는 아직도 모르는 흉장들.. 북한산 기동대대 육군 제56 보병사단 기동대대 북한산 기동대대 흉장으로 과거 전초대대 흉장과 비슷하다. 전초대대 흉장의 경우 검정색이었다면 북한산 흉장은 청색바탕이다. 칼라시절에는 직조로 제작된 패치를 본적이 없으며 컴퓨터 자수로 제작이 되었다. 이후 저시인성으로 바뀐었던 시기 직조형태로 제작이 되었다. 현재 위에 버전은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디지털복으로 바뀌면서 도안자체도 바뀌었다. 그러나 청색바탕은 유지하고 호랑이를 어둡게 하여 만든 시험버전이 있지만 채택이 되지 않았는지 다른 그림으로 제작이 되었다. 시험버전이 제작된 시기는 아직 얼룩무늬 군복에 착용했기 때문에 과도기였고 초기 흉장을 그대로 살려 전통성을 유지 할려고 노력했던 흔적이 보인다. 얼룩무늬 군복시절 기동대대원이었다면 일반적으로 포켓에 흉장을 달고 왼.. 육군 학생 군사학교 육군 학생 군사학교 ROK Army Cadet Military School 별칭 문무대 학교 마크 방패모양의 형태는 조국수호를 뜻하며 국토방위에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 청색의 바탕은 젊음을 의미하며 육군 학생군사학교의 학생들을 지칭함 칼과 펜은 문무를 겸전함을 의미 백색 테두리는 백의민족을 뜻하며 평화를 선호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뜻함 오랜 역사를 가진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의 마크는 다양한 버전을 발견했지만 학생 군사 학교의 경우 큰 변화를 발견하지 못했다. 부대학교의 특성상 병보다는 간부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부착한 모습을 보는 경우가 어렵다. 그나마 가까이 볼 수 있는 경우는 대학교 학군단 건물 주변에서 위에 마크를 부착한 군인들을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학교내 학군단에서 근무하는 병들의 정체가 궁.. 부대표지가 바뀐 사단 1948년 육군이 창설되면서 많은 부대들이 창설되었다가 해체되었다. 과거 60, 70년대에도 부대가 창설, 해체되었고 아쉽지만 아직까지 많은 자료가 남아 있지는 않다. 그동안 존재조차 확인 못한 일명 조치원 51사단도 있었고 동해안 방어사령부와 동해안 경비 사령부의 차이, 훈련단, 울경사, 부산 경비단 등 아직까지 부대 마크를 확인 조차 못한 부대들도 많이 있고 아직도 구하는 중이다. 그래서 최근 2000년대 이후로 변화 사단 마크들을 정리했다. 정리하기 전에는 많은 사단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2000년대 이후 사단 마크가 바뀐 부대는 몇 개 되지 않았다. 물론 교육기관이나 다른 부대에서도 바뀐 것이 있지만 사단급에서 4개 부대만 존재한다, 부대마크는 대략 2013년도 전후로 변경이 되었다. 첫 번째.. 봉화 기동대대 육군 제55 보병사단 기동대대 타원형으로 기동대대의 흉장을 뱀으로 나타냈다. 그동안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마크들을 봤지만 기동,수색대대 흉장에서 뱀으로 나타낸 건 55사단이 유일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신화 속 동물 용, 봉황이나 사자, 호랑이, 독수리처럼 강한 동물을 상징했다. 그동안 뱀으로 부대마크를 만든 경우는 거의 없었다.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9사단에서 기념패치로 추정되는 마크가 있고 시기는 2000년대 이후로 생각된다. 의외로 뱀의 이미지를 사용한 부대가 적다. 지금은 팀단위 패치도 사용되어 종종 뱀을 발견할 수 있지만 2010년도 이전 얼룩무늬 패치가 사용되기 전에는 뱀을 이용하지는 않았다. 과거에 특공대 지역대에서 사용하기도했었다. 그러나 그건 부대마크로 제작되었는지는.. 육군 공병학교 부대마크방패형 타입으로 안에 공병 병과표시가 있지만 다른 학교마크에 비하면 세련되었다고 해야 할까? 또는 간결하면서도 복잡한 느낌이 든다. 아무래도 이러한 이유는 아래 세부 설명에 적었지만 공병 병과를 군의 심장으로 표현하여 부대마크가 심장을 형상화했던게 아닐까 생가된다. 기존 다른 방패형 타입의 마크들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히 다르다. 외곽: 승리의 방패를 형상화 군의 심장 상부의 연결: 단결을 상징 적색, 백색중앙의 독립문 : 공병병과 표시 축성과 건설을 상징 별: 육군을 상징공병병과 표지는 과 1971년도에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독립문에 별이 있었다면 현재는 축성에 별대신 칼로 바뀌었다. 개인적으로 공병학교의 부대마크에 다양한 버전을 본적이 없다. 일반 부대는 다양한 버전들이 제작되고 과거에는 흔히.. 스페인 공군 3 스페인 공군 ALA 14 스페인 알바세테라는 도시에 있는 비행부대로 예하에 141,142부대가 있다. 알바세테는 스페인 남동쪽 있는 지역으로 현재 EF2000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Dassault Mirage F1을 사용했었다. 부대마크의 경우 처음 보는 기법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본 적이 없는 형태로 원단에 고무를 붙인 형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형태로 제작된 패치를 본 적이 없다. 최근에 특정 업체가 다양한 재질로 시도하고 있지만 사진처럼 손이 많이 가는 방식으로는 제작된 형태는 처음본다. 지금은 모르지만 자료를 찾아 본 결과 2005년까지 에어쇼가 열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국제 행사보다는 기지개방 행사로 2005년 에 참가했던 기체들은 공군에 운용 중인 스페인 공군의 기체들이다. A..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