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7)
8사단 신병교육대 휘장, 56사단 기동대대 코인 제8 기계화 보병사단 신병 교육대 휘장 일반적으로 신교대 패치는 대부분 정병육성으로 되어 있다. 정병육성의 의미는 우수하고 강한 군사를 길러내는 뜻으로 특히나 육군 훈련소를 '정병육성의 요람'으로 불린다. 이번에 입수한 8사단의 휘장은 '강병육성'으로 되어 있다. 정병과 강병은 의미는 비슷하다. 다만 개인적 어감으로 느꼈을땐 정병보다 강병이 좀더 강한 느낌이 든다. 기계화 보병사단으로 바뀌면서 뱃지도 디자인도 바뀐것으로 생각된다. 현재는 다시 기동사단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도 기사로 지금과는 다른 형태이다. 위에 휘장은 오뚜기 형태로 되어있다 그러나 과거에 사용했던 휘장은 방패형 타입으로 가운데 오뚜기마크가 있고 다른부분은 확인이 되지 않는다. [철원인터넷신문] “우리가 진정한 ‘오뚜기 부대’ 형제!..
해군 기념용 패치 해군 기념용 패치 공식적인 부착 마크가 아닌 마크사에서 제작해서 판매하는 제품이다. 해군의 경우 부대마크를 부착하지 않는다. 몇년전 어떤 장관시절이 잠수함부대에서 부대마크를 부착하는 모습이 보였고 이후 예하 부대에서 시험버전으로 부대마크를 부착했었다. 그러나 해군 관련 뉴스를 찾아 보면 다시 부착을 안하는 것 같다. 상단의 부대마크들은 마크사에 만들었지만 해군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체 적인 공통점의 우선 테두리를 쇠사슬로 표현을 하였다. 선박의 기본적인 장비중 하나인 앵커는 선박의 쇠사슬로 연결되어 있고 해군이 뿐만 아니라 선박과 관련되 업종을 표현하는데 종종 사용한다. 물론 홋줄로 표현하기도 한다. 상단 이미지는 가운데 거북선이 있다. 해군 부대마크의 대부분이 거북선이 상징처럼 들어간다. 가로..
[부대마크] 65사단 수색대대 65사단 수색대대 수색대대의 업로드는 늦어지고 있다. 각종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지만 동원사단 특성상 정보가 없다. 과거에 비해 정보양이 늘어났다고 하지만 아직까지도 부족하다. 국방일보를 통해 65사단 수색대대 내용이 없는건 아니지만 대부분 단신기사로 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업데이트의 시간이 길어지기 시작했다. 더구나 2017년부로 해체 되었기 때문에 sns에서는 안보인다. 흉장은 청색 바탕에 가운에 독수리 그리고 하단에 리본으로 65 수색으로 적혀있다. 65사단 수색대대 흉장은 지금까지 발견된 타입으로 두개가 있다. 하나는 상단의 사진처럼 독수리가 오밀조밀 모여 있는 느낌이라면 날개를 쫙 편 느낌의 흉장이 있다. 아직까지 날개가 펴진 패치는 구하지 못했다. 언젠가 구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구형 65사단..
해병대 제1 사단 해병대 제1사단 - 해룡부대 지난 10월 1일 국군의 날 행사가 열렸다. 처음으로 해병대가 주관하였고 행사는 성공적이었다. 부대 표지는 해병대 1사단의 부대마크로 공식적으로 부착하지 않는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해병대는 빨간 명찰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럼 위 마크는 어떻게 제작된 것일까? 기본적으로 마크사에서 기념 용도로 제작된 것이다. 전역할 때 붙이거나 가방 등에 부착하는 하는 용도이다. 그렇다고 해병대에서도 마크를 아예 부착하지 않는 건 아니다. 우선 교육 수료( 유격, 기습 특공, 공수) 마크를 부착하고 의장대, 수색대대, 항공단에서 별도의 흉장이나 마크가 있다. 그리고 소수의 국직부대에 근무하는 해병대도 부착한다고 하는데 사진으로 확인한 모습은 없다. 해병대 1사단의 경우 언제부터 사용했는지 ..
[부대마크] 62사단 수색대대 62사단 충룡 수색대대 흉장 이 패치를 구하려고 대전 조치원을 돌아다닌 적이 있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만 소비했다. 결국 다른 수집가에게 얻은 흉장이다. 62사단이 2008년도에 해체되었는데 지금이나 그때나 인터넷 상에는 정보가 없다. 간혹 어디 출신이다 이런 글이 전부이다. 당시 부대마크는 저시인성으로 바뀌었고 흉장은 특전사를 제외한 수색대대나 기동대대에서 바뀌는 시절이었다. 그래서 저시인성 버전은 아예 제작이 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저시인성으로 바뀌고 1년 남짓만에 부대가 해체되었으니 흉장을 바꿀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69사단과 함께 흉장의 끝판왕이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당시 동원사단들이 인원이 적고 제작 수량조차 적으니 물건이 구하기 어려운 건 당연한 일이다. 수색대대의 흔적을 찾기 위해 기록원..
[부대마크] 군수 지원 사령부 부대 표지 원형: 국가의 방패, 국가의 발전 청색: 조국의 자유와 평화구현의 의지 백색: 백의민족과 군의 기백 상징 삼각형: 보급, 정비, 근무(군수의 3대 기능) 숫자: 각 군수지원사령부의 고유 명칭 군수 지원 사령부는 같은 부대 표지로 숫자만 다르게 되어있다. 사진에 2,3 군수 지원 사령부 마크와 5 군수지원 사령부의 마크에 차이가 있는 데 있는데 이는 제작 시기의 차이가 있다. 2,3, 군지 사의 경우 뒷면이 부직포로 2000년대부터 제작된 방식이고 5군 지사로 광목으로 일명 거즈로 제작되었다. 현재 제5 군수 지원 사령부만 남아 있고 2,3군 지사는 해체되었다. 창설 연도가 60말~70년대이다 보니 직조나 컴퓨터 자수가 아닌 다른 재질로 제작하는 한 패치는 아직 못 봤다. 80년대 버전은 가운데..
[부대마크] 61사단 수색대대 61사단 수색대대 흉장 오랜만에 올리는 수색대대 흉장이다. 그동안 검색을 해봤지만 자료가 없었다. 그러다 보니 흉장 업로드가 상당히 늦었다. 또한 부대는 2017년에 해체되었다. 우선 흉장을 보면 호랑이가 산을 오르는 모습을 형상화 한것 같다. 지역적인 의미가 있다면 산은 부대 근처의 산을 표현한게 아닐까 한다. 그리고 바탕이 청색인데 이건 부대마크에서 따온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상단 가운데 보면 살짝 튀어 나온부분이 있다. 이건 61사단 마크처럼 따옴표 처럼 제작이 되었기 때문인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다른 흉장과 비교하면 특색이 있는부분이다 기본적으로 사각,원, 타원타입이었는데 61사단의 타원형 타입이지만 상단에 튀어나온 부분이 있어 변형된 타원형 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위의 타입이 아닌 일반적인 타..
국군 체육 부대 국군 체육부대 상무 부대 Korea Armed Forces Athletic Corps 부대 표지 의미 원 : 영광의 승리를 향한 단결과 결속을 의미 불사조: 불사영생의 영조로 조국을 수호하는 군인의 희생 정신과 칠전 팔기의 군인 기상 표출 횃불: 국가체육진흥의 선봉 역할 수행 바탕색(귤색): 조국과 군에 대한 평화를 염원하고 승리의 영광을 의미 부대마크는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 부대 홈페이지에는 2014년부터 사진을 볼 수 있지만 부대마크를 착용한 모습을 볼 수없다. 그러나2013년도에 복무한 축구선수 이근호를 기준으로 부대마크를 부착했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2014년에 부착을 안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정협 '저 이제는 병장입니다!' (파주=뉴스1) 이동원 기자 = 다음 달 ..

반응형